- 풀스택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React 프레임워크
- 프레임워크
-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공통의 구조를 제시하고 공통의 기능을 제공
- 개발 방식이나 프로젝트 구조를 강제하기 때문에 라이브러리에 비해 자유도가 떨어지지만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공통 기능을 잘 활용하면 개발 생산성 향상
- 라우팅: 레이아웃, 중첩 라우팅, 로딩 상태, 오류 처리 등을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 기반 라우터 제공
- 페이지 라우터(pages): 이전 방식의 라우터
- 앱 라우터(app): 서버 컴포넌트, 스트리밍 같은 최신 React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페이지 라우터 대신 사용을 권장(Next.js 13.4에서 정식 도입. 2023-05-04)
- 렌더링: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(CSR), 서버 사이드 렌더링(SSR) 지원
- 데이터 패칭: 데이터 캐싱, 재검증 등의 기능을 추가해서 확장한 fetch API를 사용해서 데이터 가져오기 제공
- 스타일링: CSS Module, Tailwind CSS, CSS-in-JS 등 여러 스타일 지정 방법 지원
- 최적화: 이미지, 글꼴, 스크립트 등의 최적화 지원
- 타입스크립트: 타입스크립트 우선 개발 환경을 제공하며 필요한 패키지를 자동으로 설치하고 적절한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. 사용자 정의 플러그인, 타입 검사기 등을 통한 타입스크립트에 대한 지원
npm install next@latest react@latest react-dom@latest
- app 디렉토리(권장): App 라우터 사용
- pages 디렉토리: Pages 라우터 사용
- 루트 레이아웃
export default function RootLayout({ children, }: { children: React.ReactNode }) { return ( <html lang="ko"> <body>{children}</body> </html> ) }
- layout 파일을 만들지 않으면 개발서버 구동시 자동으로 생성됨
- 루트 페이지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 { return <h1>Hello, Next.js!</h1> }
npm run dev
- Next.js 프로젝트를 위한 tsconfig.json, next-env.d.ts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됨
npx create-next-app@latest
- What is your project named? 02.cna
- Would you like to use TypeScript? No / Yes
- Would you like to use ESLint? No / Yes
- Would you like to use Tailwind CSS? No / Yes
- Would you like to use 'src/' directory? No / Yes
- Would you like to use App Router? (recommended) No / Yes
- Would you like to customize the default import alias (@/*)? No / Yes
cd 02.cna
npm run dev
- app: 앱 라우터
- pages: 페이지 라우터
- public: 정적 컨텐츠
- src: 소스 폴더를 따로 관리할 때 사용
- next-env.d.ts: Next.js용 타입스크립트 선언 파일
- next.config.js: Next.js 설정 파일
- package.json: 프로젝트 종속성 및 스크립트
- tsconfig.json: 타입스크립트 설정 파일
- app 폴더 하위에 존재하는 파일이나 폴더 규칙
- layout.js: 동일 폴더와 하위 폴더 page의 레이아웃을 정의
- page.js: 페이지 UI
- loading.js: 페이지 로딩 중에 표시되는 UI
- not-found.js: 404 오류 페이지
- error.js: 일반 오류를 보여주는 페이지
- global-error.js: 전역 오류를 보여주는 페이지
- route.js: API 엔드포인트 정의
- template.js: 페이지 템플릿을 정의
- default.js: 대체 UI
- 폴더명이 라우트 경로가 됨
folder
: 라우트 세그먼트folder
/folder
: 중첩된 라우트 세그먼트
[folder]
: dynamic 세그먼트[...folder]
: catch-all 세그먼트[[...folder]]
: optional catch-all 세그먼트
(folder)
_folder
@folder
(.)folder
(..)folder
(..)(..)folder
(...)folder
- 트리(Tree): 계층 구조를 시각화하기 위한 용어. 부모와 자식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컴포넌트 트리
- 서브트리(Subtree): 새로운 루트에서 리프까지 트리의 일부
- 루트(Root): 트리나 서브트리에서 첫 번째 노드. 루트 레이아웃, 루트 페이지
- 리프(Leaf): 트리의 마지막 노드로 자식이 없음. URL 경로의 마지막 세그먼트
- URL 경로(Path): 도메인 이후의 URL 부분
- URL 세그먼트(Segment): 슬래시로 구분된 URL 경로의 일부
- 파일 시스템 기반 라우터
- app 폴더 하위의 폴더명이 URL의 경로가 됨
- page 라우터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공유 레이아웃, 중첩 라우팅, 로딩 상태, 에러 처리 등을 지원
- 경로에 해당하는 폴더 생성
- 생성한 폴더 하위에 라우팅 규칙과 관련된 특수 파일, CSS, 이미지 등의 파일 작성
- page.js: 해당 경로로 접근했을 때 보여줄 페이지 정의
- page 파일이 없는 폴더는 라우팅 되지 않음
-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URL과 매칭되는 폴더 하위에 정의
- 클라이언트에 보여줄 화면 정의
- page.js, page.jsx, page.tsx로 작성
-
app/page.tsx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 { return <h1>Home</h1> }
-
app/posts/page.tsx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 { return <h1>목록 조회</h1> }
-
app/posts/[id]/page.tsx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 { return <h1>상세 조회</h1> }
-
app/posts/new/page.tsx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 { return <h1>글쓰기</h1> }
-
레이아웃 파일이 있는 경로와 하위 경로의 page를 보여줄때 사용하는 공통의 UI 정의
- page 파일을 래핑
-
하위 폴더의 layout과 중첩됨
-
생략 가능
-
layout.js, layout.jsx, layout.tsx로 작성
-
app/layout.tsx
import './globals.css'; export default function RootLayout({ children, }: { children: React.ReactNode }) { return ( <html lang="ko"> <body className="flex flex-col h-screen"> <header className="bg-blue-500 text-white p-4"> <nav> <ul className="flex space-x-4"> <li><a href="/" className="hover:underline">Home</a></li> <li><a href="/about" className="hover:underline">About</a></li> <li><a href="/posts" className="hover:underline">게시판</a></li> </ul> </nav> </header> { children } </body> </html> ); }
- children은 현재 폴더부터 URL 경로와 일치하는 폴더까지 내려가면서 찾은 layout이 중첩되고 마지막엔 URL 경로에 존재하는 page가 된다.
-
app/posts/layout.tsx
export default function PostLayout({ children, }: { children: React.ReactNode }) { return ( <div className="flex flex-1 overflow-hidden"> <aside className="w-48 bg-gray-800 text-white p-4 lg:w-64"> <ul className="space-y-2"> <li><a href="/posts" className="block hover:bg-gray-700 p-2 rounded">목록 조회</a></li> <li><a href="/posts/new" className="block hover:bg-gray-700 p-2 rounded">글쓰기</a></li> </ul> </aside> <main className="flex-1 p-6 bg-gray-100 overflow-y-auto"> { children } </main> </div> ); }
- app 폴더 하위에 만들어야 하는 필수 layout 파일
- 모든 경로에 적용할 공통 UI 작성
- 루트 레이아웃에만 html, body 태그 포함 가능
-
layout, page에서 metadata 변수나 generateMetadata 함수를 내보내기 하면 메타데이터 정의 가능
-
app/page.tsx에 추가
import { Metadata } from "next" export const metadata: Metadata = { title: 'Home', description: 'Home 페이지입니다.' }
-
app/posts/page.tsx에 추가
import { Metadata } from "next" export const metadata: Metadata = { title: '게시물 목록 조회', description: '게시물 목록 조회 페이지입니다.' }
-
app/posts/[id]/page.tsx에 추가
export async function generateMetadata({ params }: { params: { id: string } }) { const id = params.id; const data = { title: `${id} 안녕하세요.`, content: '가입인사 합니다.' }; return { title: data.title, description: data.content, }; }
-
a 태그 대신 사용
- Link 컴포넌트는 렌더링 되면 a 태그로 바뀜
-
app/layout.tsx 수정
import Link from "next/link"; ... <li><Link href="/" className="hover:underline">Home</Link></li> <li><Link href="/about" lassName="hover:underline">About</Link></li> <li><Link href="/posts" className="hover:underline">게시판</Link></li> ...
-
app/posts/layout.tsx 수정
import Link from "next/link"; ... <li><Link href="/posts" className="block hover:bg-gray-700 p-2 rounded">목록 조회</Link></li> <li><Link href="/posts/new" className="block hover:bg-gray-700 p-2 rounded">글쓰기</Link></li> ...
-
usePathname() 훅을 이용해서 url 확인 후 href와 비교
-
app/globals.css 작성
... @layer components { .cs-active { @apply font-bold; } }
-
app/layout.tsx 수정
'use client'; import { usePathname } from "next/navigation"; import "./globals.css"; import Link from "next/link"; export default function RootLayout({ children, }: { children: React.ReactNode }) { const pathname = usePathname(); const isActive = (path: string) => pathname === path ? 'cs-active' : ''; return ( <html lang="ko"> <body className="flex flex-col h-screen"> <header className="bg-blue-500 text-white p-4"> <nav> <ul className="flex space-x-4"> <li><Link href="/" className={`hover:underline ${ isActive('/') }`}>Home</Link></li> <li><Link href="/about" className={`hover:underline ${ isActive('/about') }`}>About</Link></li> <li><Link href="/posts" className={`hover:underline ${ isActive('/posts') }`}>게시판</Link></li> </ul> </nav> </header> { children } </body> </html> ); }
-
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사용
-
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페이지 이동 가능
-
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Link 컴포넌트 사용 권장
-
app/posts/new/page.tsx 수정
'use client'; import { useRouter } from "next/navigation"; 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{ const router = useRouter(); return ( <> <h1>글쓰기</h1> <button type="button" onClick={ () => router.push('/login') }>로그인</button> </> ) }
-
서버 컴포넌트에서 사용
-
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렌더링 중에는 사용 가능하지만 이벤트 핸들러에서는 사용 불가
-
기본적으로 307(Temporary Redirect, 원래 요청 방식과 본문으로 새로운 페이지 요청, 다음번 요청에도 이전 URI 사용) 응답 상태코드
- 서버 액션일 경우(POST 요청의 성공 페이지로 이동할 때) 303(See Other, 새로운 페이지로 GET 요청) 응답 상태코드
-
app/posts/new/page.tsx
'use client'; import { useRouter, redirect } from "next/navigation" 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{ const router = useRouter(); redirect('/login'); return ( <> <h1>글쓰기</h1> <button type="button" onClick={ () => router.push('/posts') }>완료</button> </> ) }
- 응답 상태코드가 308(Permanent Redirect, 원래 요청 방식과 본문으로 새로운 페이지 요청, 다음부터는 새로운 URI 사용)인 점만 다르고 redirect와 동일
- 브라우저의 history API 사용
- window.history.pushState
- window.history.replaceState
- usePathname(), useSearchParams() 훅으로 URL과 파라미터 추출해서 low-level로 URL 변경 가능
- useRouter() 훅을 사용하는게 페이지 전환 시 SSR, SSG, 데이터 패칭, 페이지 전환 효과 등 Next.js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useRouter() 권장
-
선언적 redirect
/** @type {import('next').NextConfig} */ const nextConfig = { async redirects() { return [ // Basic redirect { source: '/about', destination: '/', permanent: true, }, // Wildcard path matching { source: '/community/:slug', destination: '/posts/:slug', permanent: true, }, ] } }; export default nextConfig;
- 미들웨어에서 사용
- 사용사례: 로그인되지 않은 사용자를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
import { NextResponse, NextRequest } from 'next/server'; import { authenticate } from 'auth-provider'; export function middleware(request: NextRequest) { const isAuthenticated = authenticate(request); // 인증된 사용자라면 원래의 요청작업 진행 if (isAuthenticated) { return NextResponse.next(); } //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라면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 return NextResponse.redirect(new URL('/login', request.url)); } export const config = { matcher: '/posts/new', }
- 서버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경로별로 코드를 작은 번들로 분할해서 브라우저가 다운로드하고 실행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양과 응답시간이 줄어들어 성능 향상
- 다음의 두 경우 링크를 누르기 전에 페이지를 미리 로드
- 프로덕션 환경에서만 활성화 됨
-
링크가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되면 자동으로 페이지를 미리 가져옴
-
prefetch 속성에 따라서 다르게 동작
-
prefetch 속성이 false일 경우 동작 안함
-
prefetch 속성이 true로 지정될 경우
- 정적 라우트와 동적 라우트 모두 다 전체 페이지를 미리 가져옴(5분 동안 캐시됨)
- 링크가 화면에 보이지 않더라도 프리페칭 시작
-
prefetch 속성이 null값인 경우(기본값)
- 정적 라우트일 경우 전체 페이지가 프리페치되어 캐시됨
- 동적 라우트일 경우 렌더링된 컴포넌트 트리에서 첫번째 loading.js 파일이 나타날 때까지만 데이터를 미리 가져옴(30초 동안 캐시됨)
- 실제 페이지를 요청할 때 로딩 상태를 즉시 보여 주고 이후의 내용을 가져옴
-
프리페칭된 데이터와 레이아웃은 30초 동안 라우터 캐시에 저장됨
- 라우터 캐시는 비활성화 시킬 수 없음
- router.refresh() 호출 시 라우터 캐시 삭제
- useRouter 훅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링크를 미리 가져올 수 있음
- 페이지 이동시 공유 레이아웃은 유지한 채로 변경된 페이지만 렌더링
- /posts/3 -> /posts/2로 이동시 app/layout.js, app/posts/layout.js는 다시 렌더링 하지 않음
- 스크롤을 유지하고 라우터 캐시를 재사용
-
내부적으로 React Suspense를 사용하여 컨텐츠가 로드되는 동안 대체할 컴포넌트로 사용됨
-
렌더링이 완료되면 완료된 컴포넌트로 자동 교체
-
로딩중 상태에서도 공유 레이아웃 사용 가능
-
app/posts/loading.tsx 작성
export default function Loading() { return <div>로딩중...</div> }
-
loading 파일과 같은 폴더에 있는 layout 파일에 page를 로 감싼 것처럼 동작
<Suspense fallback={<Loading />}> { children } </Suspense>
-
app/posts/paage.tsx 수정
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Page(){ await new Promise(resolve => setTimeout(resolve, 1000*3)); return ( ... ); }
- SSR을 사용하면 서버에서 페이지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생성한 후 완성된 HTML을 전송하는데 까지 시간이 오래걸림
- 를 통해 스트리밍을 활성화하면 서버에서 레이아웃이나 중요 데이터를 먼저 전송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는 페이지의 일부를 더 빨리 표시할 수 있음
- 하나의 response로 나머지 데이터도 이어서 받음
- generateMetadata 함수는 페이지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됨
- 메타데이터는 주로 태그 내에 포함되는 title, description, keyword 등의 정보
- 메타데이터는 SEO(검색 엔진 최적화)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, 소셜 미디어 공유 시에도 사용됨
- generateMetadata 함수 내에서 데이터를 fetching하는 경우, Next.js는 이 데이터 fetching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림
- 데이터 fetching이 완료된 후 메타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생성하고, 이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태그를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하기 시작
-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받은 초기 컨텐츠가 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검색엔진이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아도 완전한 메타데이터 확인 가능
- 오류가 발생할 경우 error.js 파일에서 오류 처리
-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여야 함
- error 파일과 같은 폴더에 있는 layout 파일에 page를 로 감싼 것처럼 동작
<ErrorBoundary fallback={<Error />}> { children } </ErrorBoundary>
-
매개변수
- error: 에러 객체
- reset: 에러가 발생한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 하는 함수
- 에러는 일시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reset() 함수를 호출해서 리플래시 없이 해당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 시도할 수 있음
-
page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같은 폴더의 error에서 처리되고 layout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상위 폴더의 error에서 처리됨
-
루트 레이이웃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상위 폴더가 없으므로 에러 처리가 안됨
- 대신 app/global-error.js 파일에서 에러 처리
- 루트 레이아웃에는
<html>
,<body>
태그가 있으므로 에러가 발생할 경우 대신 사용되는 global-error에<html>
,<body>
태그가 있어야 함 - global-error.js는 프로덕션 환경에서만 동작
-
서버 컴포넌트에서 발생한 에러는 프로덕션 환경일 때 error 객체의 민감한 오류 정보는 제거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됨
- app 라우터는 app 하위 폴더가 URL 경로에 매핑됨
- 폴더가 URL 경로에 포함되지 않게 하고 싶을때 라우트 그룹을 생성
- (폴더명) 처럼 폴더명에 ()를 붙여서 작성
- URL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여러 페이지를 하나의 폴더에 묶어서 관리
- login, signin 폴더를 user 폴더 하위로 그룹화 해서 관리
project-root/ ├── app/ │ ├── user/ │ │ ├── login/ │ │ │ └── page.js │ │ ├── signin/ │ │ │ └── page.js
- /user/login -> app/user/login/page.js
- /user/signin -> app/user/signin/page.js
- 라우트 경로에서 user를 제거하기 위해서 user 폴더를 제거
project-root/ ├── app/ │ ├── login/ │ │ └── page.js │ ├── signin/ │ │ └── page.js
- /login -> app/login/page.js
- /signin -> app/signin/page.js
-
라우트 그룹으로 관리
project-root/ ├── app/ │ ├──(user)/ │ │ ├── login/ │ │ │ └── page.js │ │ ├── signin/ │ │ │ └── page.js
- /login -> app/(user)/login/page.js
- /signin -> app/(user)/signin/page.js
-
라우트 그룹 하위에 layout 작성시 라우트 그룹 내부 페이지에만 적용
- 동일한 URL depth에 있는 페이지에 다른 layout을 적용하고 싶을 때
- account, cart, check 페이지에서 account, cart에 동일한 레이아웃 적용
- 루트 레이아웃을 여러개 정의하고 싶을 때
- 다른 라우트 그룹에 동일한 하위 경로 작성시 컴파일 에러 발생
- 라우팅 폴더 내에 page, route 파일이 있는 경우에만 라우팅 됨
- page와 route 파일만 라우팅 됨
- _로 시작하는 폴더는 page 파일이 있어도 라우팅에서 제외
- 활용 사례
- UI 로직과 라우팅 로직 분리
- 프로젝트 및 Next.js 생태계 전반에 걸쳐 내부 파일을 일관되게 구성
- 코드 편집기에서 파일 분류 및 그룹화
- 향후 발생할 수도 있는 Next.js 특수 파일 규칙과의 잠재적인 이름 충돌을 방지
- 프로젝트 환경 설정파일과 소스 코드를 분리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사용
project_folder/ │ ├── src/ │ ├── app/ │ │ ├── layout.js │ │ └── page.js │ │ │ └── 라우터 이외의 소스 코드 │ ├── package.json │ └── next.config.js
- tsconfig.json, jsconfig.json 파일에 별칭 지정
- create-next-app을 이용하면 기본으로 추가되고 추가 별칭도 선택적으로 지정 가능
"paths": { "@/*": ["./src/*"] }
- create-next-app을 이용하면 기본으로 추가되고 추가 별칭도 선택적으로 지정 가능
// before
import { Button } from '../../../components/button'
// after
import { Button } from '@/components/button'
- 프로젝트 파일과 폴더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해서 올바르거나 틀린 방법은 없음
- 여러 전략 중 팀에게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고 일관성을 유지해야 함
- app 폴더는 라우팅으로만 사용하고 나머지 코드는 app 폴더 외부에 저장
- 모든 코드를 app 폴더 내부에 저장
- 공용 컴포넌트나 라이브러리를 app 폴더 하위에 작성하고 각 페이지별로 사용할 컴포넌트나 라이브러리는 각 페이지 폴더 하위에 작성
-
고정된 URL이 아닌 바뀔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라우팅을 정의할 때 폴더명을 대괄호로 묶어서 생성
- posts/1, posts/2 -> posts/[id]
-
실제 요청한 URL의 동적 경로 값은 layout, page, route, generateMetadata 함수에 params prop으로 전달됨
-
요청한 URL이 /posts/3일 경우 3을 꺼내는 방법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{ params: { id } }: { params: { id: string }}) { return <h1>{ params.id }번 게시물 상세 조회</h1> }
-
app/posts/[id]/page.js 파일이 있을때 매칭되는 URL과 params 값
- /posts/1 -> { id: '1' }
- /posts/2 -> { id: '2' }
- /posts/3 -> { id: '3' }
-
동적 경로를 사용해서 특정 게시글에 달린 좋아요 목록, 관심글로 등록한 목록과 좋아요 상세정보, 관심글 상세 정보를 보여줄 때 만들어야 할 파일
- app/posts/[pid]/[slug]/page.js
- /posts/1/likes -> { pid: '1', slug: ['likes'] }
- /posts/2/likes -> { pid: '2', slug: ['likes'] }
- /posts/2/favorites -> { pid: '1', slug: ['favorites'] }
- app/posts/[pid]/[slug]/[sid]/page.js
- /posts/3/likes/4 -> { pid: '3', slug: ['likes'], sid: '4' }
- /posts/3/favorites/4 -> { pid: '3', slug: ['favorites'], sid: '4' }
- app/posts/[pid]/[slug]/page.js
-
동적 경로로 구성된 페이지의 params를 미리 지정해서 빌드시 해당 파라미터를 가지는 페이지를 정적으로 생성
-
미리 생성할 정적 페이지의 params를 배열로 반환하도록 작성
-
빌드 할 때 동작 순서
export async function generateStaticParams() { // 공지글에 대한 fetch 작업 const posts = [ { id: '1', title: '...' }, { id: '2', title: '...' }, { id: '3', title: '...' }, ]; return posts.map((post) => ({ id: post.id })) }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Page({ params: { id } }: { params: { id: string } }){ const resJson = await fetchPost(id); let data = resJson.ok ? resJson.item : null; return ( ... ); }
- 빌드시 generateStaticParams() 함수 호출 후 반환 받은 배열의 각 요소를 params로 구성해서 Page 컴포넌트 호출
- Page 컴포넌트에서 반환 받은 HTML을 빌드 결과로 저장(posts/1.html, 2.html, 3.html)
-
대괄호 안에 줄임표(...)를 추가하면 하위 경로에 대해서도 매핑됨
-
Catch-all 세그먼트를 이용해서 특정 게시글에 달린 좋아요 목록, 관심글로 등록한 목록과 좋아요 상세정보, 관심글 상세 정보를 보여줄 때 만들어야 할 파일
- app/posts/[id]/[...slug]/page.js
- /posts/1/likes -> { id: '1', slug: ['likes'] }
- /posts/2/likes -> { id: '2', slug: ['likes'] }
- /posts/2/favorites -> { id: '2', slug: ['favorites']}
- /posts/3/like/4 -> { id: '3', slug: ['likes', '4'] }
- /posts/3/favorites/4 -> { id: 3', slug: ['favorites', '4'] }
- app/posts/[id]/[...slug]/page.js
-
폴더명을 이중 대괄호로 묶어서 작성하면 Catch-all 세그먼트를 선택사항으로 지정
-
특정 게시글과 댓글 목록, 댓글 상세 정보를 하나의 page로 처리할 경우
- app/posts/[id]/[[...slug]]/page.js
- /posts/1 -> { id: '1' }
- /posts/2 -> { id: '2' }
- /posts/3/replies -> { id: '3', slug: ['replies'] }
- /posts/3/replies/2 -> { id: '3', slug: ['replies', '2'] }
- app/posts/[id]/[[...slug]]/page.js
- app/posts/[id]/page.js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{ params }: { params: { id: string } }) {
return <h1>My Page</h1>
}
- app/posts/[...slug]/page.js -> { slug: string[] }
- app/posts/[[...slug]]/page.js -> { slug?: string[] }
- app/posts/[id]/[slug]/page.js -> { id: string, slug: string }
- API 엔드포인트 생성
- 서버에서 실행되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반환
- 서버 컴포넌트에서는 직접 데이터를 가져오면 되므로 라우트 핸들러를 호출할 필요 없음
- 외부 API를 호출할 때 라우트 핸들러를 통해 호출하면 API 토큰 같은 민감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노출하지 않음
- GET, POST, PUT, PATCH, DELETE, HEAD, OPTIONS 메서드 지원
- 지원되지 않은 메소드 호출 시 405 Method Not Allowed 에러 응답
- page 파일 대신 route.js 나 route.ts 파일로 작성
export async function GET(request: Request) {
const res = await fetch('https://api.fesp.shop/posts');
const data = await res.json();
return Response.json({ data });
}
- GET 요청시 Response가 기본적으로 캐시됨(기본값은 30초)
- 캐시 안되게 하려면
- Request 객체를 사용
- 다른 HTTP 메서드를 사용
- cookies 및 headers와 같은 동적 함수를 사용
- 라우트 세그먼트 설정 옵션을 통해
dynamic
모드를force-dynamic
으로 지정export const dynamic = 'force-dynamic';
- 캐시 설정
- fetch 옵션의 next.revalidate 속성으로 지정
- 숫자: 초단위의 캐시 시간 지정
const res = await fetch('http://localhost/posts', { next: { revalidate: 60 }, // Revalidate every 60 seconds })
- 숫자: 초단위의 캐시 시간 지정
- 라우트 세그먼트 설정 옵션의 revalidate 설정
export const revalidate = 60;
- fetch 옵션의 next.revalidate 속성으로 지정
- Fetch API의 Request, Response를 확장하여 추가적인 편의 메서드 제공
import { type NextRequest } from 'next/server';
export function GET(request: NextRequest) {
const searchParams = request.nextUrl.searchParams;
const query = searchParams.get('query');
// query is "hello" for /api/search?query=hello
...
return NextResponse.json({ data });
}
- 데이터 가져오는 방법
- 서버에서 fetch 함수 사용
- 서버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사용
- 클라이언트에서 라우트 핸들러 호출
- 클라이언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사용
- fetch API를 확장
- GET 요청에 대해 URL과 옵션을 메모이제이션하고 여러 컴포넌트에서 호출하는 동일한 요청에 대해서 저장된 응답을 반환
- 컴포넌트 트리의 여러 컴포넌트가 props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달할 필요 없이 fetch를 각각 호출해도 저장된 값을 사용하므로 성능에 영향이 없음
- generateMetadata, generateStaticParams, Layout, Page, Server Component에만 적용되고 라우트 핸들러는 컴포넌트 트리의 일부가 아니므로 적용 안됨
- 메모이제이션된 데이터는 컴포넌트 트리가 렌더링을 완료할 때까지 지속됨
- 서버 컴포넌트, 라우트 핸들러, 서버 액션에서 async/await와 함께 사용 가능
- 서버 액션에서는 캐시되지 않음(cache: no-store가 기본값)
- GET 요청에 대해 URL과 옵션을 메모이제이션하고 여러 컴포넌트에서 호출하는 동일한 요청에 대해서 저장된 응답을 반환
-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서버에서 실행되는 함수
- 서버사이드 로직을 클라이언트에서 호출 가능
- 주로 폼 데이터 처리에 사용
- Next.js의 캐싱과 재검증 아키텍처와 통합
- 액션이 호출되면 한번의 요청으로 업데이트된 UI와 새 데이터를 모두 받을 수 있음
- 서버 액션이 호출되면 내부적으로 POST 방식으로 호출
- 매개변수와 반환값은 직렬화 가능해야 함
- string, number, bigint, boolean, undefined, null, symbol(Symbol.for로 등록된 global Symbol)
- String, Array, Map, Set, TypedArray, ArrayBuffer
- Date
- FormData
- Object
- 서버 액션 함수
- Promise
- 반드시 async 함수로 만들어야 한다
- 원리
- 빌드시 서버 액션 함수는 클라이언트 측에 전송됨
- 서버 액션 요청의 payload에 $ACTION_ID를 자동으로 전달
- .next/server/app/... 하위에 빌드된 파일 확인
- "const actions"으로 검색하면 action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고 mod["$$ACTION_0"]를 사용해서 호출함을 확인
- "function $$ACTION_0"으로 검색하면 서버 액션 함수를 찾을 수 있음
-
인라인 수준: 서버 액션 함수의 첫줄에 'use server' 지시어 추가
- 서버 컴포넌트에서만 사용 가능
// Server Component 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 { // Server Action async function create() { 'use server' // ... } return ( // ... ) }
-
모듈 수준: 서버 액션만 정의하기 위해 별도로 분리한 파일의 첫줄에 'use server' 지시어로 모든 export 함수를 서버 액션으로 정의
- 서버 컴포넌트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모두 사용 가능
'use server' export async function create() { // ... } export async function update() { // ... }
-
서버 컴포넌트를 props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 전달
<ClientComponent create={create} />
-
React는 HTML form 요소를 확장해서 action 속성에 서버 액션 지정 가능
'use client' export default function ClientComponent({ create }) { return <form action={create}>{/* ... */}</form> }
- 서버 액션이 호출되면 Form 내부의 입력 요소들 값이 저장된 FormData 객체가 자동으로 전달됨
- 자바스크립트가 로드되기 이전이거나 비활성화 되었어도 폼 제출 가능
- 자바스크립트가 로드되기 이전에 제출되면 큐에 담은 후 클라이언트 하이드레이션의 우선 순위로 지정됨
- submit 이후에 새로고침 없음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 { async function createInvoice(formData: FormData) { 'use server' const rawFormData = { customerId: formData.get('customerId'), amount: formData.get('amount'), status: formData.get('status'), } // mutate data // revalidate cache } return <form action={createInvoice}>...</form> }
-
form 데이터에 추가 인자값 전달
- Function.prototype.bind()를 사용해서 인자값 미리 전달(클라이언트, 서버 컴포넌트 모두 사용 가능)
- hidden 타입을 이용(인코딩 되지 않은 값이 HTML에 그대로 삽입됨)
'use client' import { updateUser } from './actions' export function UserProfile({ userId }: { userId: string }) { const updateUserWithId = updateUser.bind(null, userId); // bind return ( <form action={updateUserWithId}> <input type="hidden" name="userId" value={userId} /> // hidden <input type="text" name="name" /> <button type="submit">Update User Name</button> </form> ) }
'use server' export async function updateUser(userId, formData) { // ... }
-
pending 상태를 표시하려면 리액트의 useFormStatus 훅 사용
- 요소의 자식으로 정의
- 리액트 훅이므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만 사용 가능
'use client' import { useFormStatus } from 'react-dom'; export function SubmitButton() { const { pending } = useFormStatus(); return ( <button type="submit" disabled={pending}>추가</button> ) }
import { SubmitButton } from '@/app/submit-button'; import { createItem } from '@/app/actions'; // Server Component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Home() { return ( <form action={createItem}> <input type="text" name="field-name" /> <SubmitButton /> </form> ) }
- button 같은 폼 내부 요소의 formAction 속성이나 이벤트 핸들러
<button formAction={}>
<input type="submit" formAction={}>
<input type="image" formAction={}>
- form 요소의 requestSubmit() 함수를 직접 호출
'use client' export function Entry() { const handleKeyDown = (e: React.KeyboardEvent<HTMLTextAreaElement>) => { if ( (e.ctrlKey || e.metaKey) && (e.key === 'Enter' || e.key === 'NumpadEnter') // Ctrl + Enter ) { e.preventDefault() e.currentTarget.form?.requestSubmit() } } return ( <div> <textarea name="entry" rows={20} required onKeyDown={handleKeyDown} /> </div> ) }
'use client'
import { incrementLike } from './actions'
import { useState } from 'react'
export default function LikeButton({ initialLikes }: { initialLikes: number }) {
const [likes, setLikes] = useState(initialLikes)
return (
<>
<p>Total Likes: {likes}</p>
<button
onClick={async () => {
const updatedLikes = await incrementLike()
setLikes(updatedLikes)
}}
>
Like
</button>
</>
)
}
- useEffect 훅에서 호출
- 게시물 상세보기 화면에서 조회수 증가
'use client' import { incrementViews } from './actions' import { useState, useEffect } from 'react' export default function ViewCount({ initialViews }: { initialViews: number }) { const [views, setViews] = useState(initialViews) useEffect(() => { const updateViews = async () => { const updatedViews = await incrementViews() setViews(updatedViews) } updateViews() }, []) return <p>Total Views: {views}</p> }
- 게시물 상세보기 화면에서 조회수 증가
-
클라이언트측 유효성 검사
- required, pattern, type="email" 등 HTML의 기본 유효성 검사 사용
-
서버측 유효성 검사
- zod 같은 라이브러리 사용
'use server' import { z } from 'zod' const schema = z.object({ email: z.string({ invalid_type_error: 'Invalid Email', }), })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createUser(formData: FormData) { const validatedFields = schema.safeParse({ email: formData.get('email'), }) // Return early if the form data is invalid if (!validatedFields.success) { return { errors: validatedFields.error.flatten().fieldErrors, } } // Mutate data }
-
서버에서 필드를 검증한 후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리액트의 useFormState 훅을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음
'use server' export async function createUser(prevState: any, formData: FormData) { // ... return { message: 'Please enter a valid email', } }
'use client' import { useFormState } from 'react-dom' import { createUser } from '@/app/actions' const initialState = { message: '', } export function Signup() { const [state, formAction] = useFormState(createUser, initialState) return ( <form action={formAction}> <label htmlFor="email">Email</label> <input type="text" id="email" name="email" required /> {/* ... */} <p> {state?.message} </p> <button>Sign up</button> </form> ) }
- 에러가 발생하면 가까운 error.js나 에서 처리됨
- try/catch로 에러 처리를 권장
'use server' export async function createTodo(prevState: any, formData: FormData) { try { // Mutate data } catch (e) { throw new Error('Failed to create task') } }
- 서버 액션 작업이 완료되면 기존 캐시된 GET 요청의 결과를 revalidate 해야 갱신된 데이터로 다시 조회 가능
- revalidatePath(), revalidateTag()
'use server' import { revalidateTag } from 'next/cache' export async function createPost() { try { // ... } catch (error) { // ... } revalidatePath('/posts') // 또는 revalidateTag('posts') }
- 서버 액션 완료 후 다른 페이지로 이동 시 redirect 사용
'use server' import { redirect } from 'next/navigation' import { revalidateTag } from 'next/cache' export async function createPost(id: string) { try { // ... } catch (error) { // ... } revalidateTag('posts') // Update cached posts redirect(`/post/${id}`) // Navigate to the new post page }
- 서버 액션 내부에서 cookies API의 get, set, delete 사용
'use server' import { cookies } from 'next/headers' export async function exampleAction() { // Get cookie const value = cookies().get('name')?.value // Set cookie cookies().set('name', 'Delba') // Delete cookie cookies().delete('name') }
- 컴포넌트 내부에 서버 액션을 정의하면 클로저 생성
- 클로저는 컴포넌트 내부의 변수 접근 가능
- 서버 액션이 호출 될 때마다 컴포넌트 내부 변수를 계속 사용해야 하므로 이 변수는 클라이어트와 서버간의 상태와 컨텍스트 유지를 위해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었다가 서버 액션이 호출되면 다시 서버로 전송되는데 이때 클라이언트에 민감한 값을 노출하지 않도록 자체 암호화되어 관리됨
- 가능한 서버 컴포넌트를 사용해서 데이터 가져오기
- 백엔드 데이터 리소스(DB 등)에 직접 액세스 가능
- API 키나 액세스 토큰 같은 민감한 정보가 클라이언트에 노출되지 않음
- 데이터 처리와 렌더링이 서버에서 발생하고 클라이언트는 HTML을 받기 때문에 렌더링 과정 없이 응답받은 HTML을 화면에 보여주기만 하면 되므로 메인 스레드 작업이 줄어듬
- 클라이언트에서 여러번 요청할 작업을 한번의 요청으로 모든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음
- 폭포수 현상을 줄임
- Next.js 서버와 데이터 리소스(DB 등)가 보통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지연시간을 줄임
- fetch API는 자동으로 서버측에 캐싱이되므로 여러 클라이언트의 동일한 요청에 대해 데이터 리소스를 다시 가져올 필요 없이 캐시된 컨텐츠를 제공해서 빠름
- 트리의 여러 컴포넌트가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하나의 컴포넌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온 후 props로 전달할 필요 없이 각 컴포넌트가 필요한 데이터를 직접 가져오도록 구성
-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번 요청해도 fetch의 메모이제이션에 의해 실제로 fetch가 여러번 발생하지 않음
- 서버 컴포넌트와 중첩 레이아웃을 사용하면 데이터가 필요 없는 부분을 즉시 렌더링 하고 데이터를 가져오는 부분에는 로딩중 상태를 표시
- 이전 fetch 작업 후 다음 fetch 작업을 하기 때문에 폭포수 현상 발생
- 다음 데이터를 가져올 때 이전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사용(성능 저하)
- loading 페이지나 를 사용해서 데이터 스트리밍 중에 로딩중 상태를 보여주면 전체가 블로킹 되는 문제를 막을 수 있음
- 사용자는 이미 로딩된 컨텐츠에 대해서는 인터렉션이 가능
// ... async function Playlists({ artistID }: { artistID: string }) { // Wait for the playlists const playlists = await getArtistPlaylists(artistID) return ( <ul> {playlists.map((playlist) => ( <li key={playlist.id}>{playlist.name}</li> ))} </ul> ) }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Page({ params: { username }, }: { params: { username: string } }) { // Wait for the artist const artist = await getArtist(username) return ( <> <h1>{artist.name}</h1> <Suspense fallback={<div>Loading...</div>}> <Playlists artistID={artist.id} /> </Suspense> </> ) }
- 데이터 가져오기 작업을 동시에 호출
- 데이터간 종속성이 없을 경우 사용(성능 향상)
import Albums from './albums'
async function getArtist(username: string) {
const res = await fetch(`https://api.example.com/artist/${username}`)
return res.json()
}
async function getArtistAlbums(username: string) {
const res = await fetch(`https://api.example.com/artist/${username}/albums`)
return res.json()
}
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Page({
params: { username },
}: {
params: { username: string }
}) {
// Initiate both requests in parallel
const artistData = getArtist(username)
const albumsData = getArtistAlbums(username)
// Wait for the promises to resolve
const [artist, albums] = await Promise.all([artistData, albumsData])
return (
<>
<h1>{artist.name}</h1>
<Albums list={albums}></Albums>
</>
)
}
- 렌더링: 리액트 컴포넌트(JS + JSX)를 호출해서 HTML 코드를 만드는 작업
- 클라이언트: 웹 브라우저
- 서버: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서 응답을 보내는 컴퓨터
-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(Client Side Rendering, CSR): 렌더링의 주체가 클라이언트
- 서버 사이드 렌더링(Server Side Rendering, SSR): 렌더링의 주체가 서버
- 사용자
- 주소창에 주소 입력, 링크나 submit 버튼을 클릭하는 액션을 발생시킴
- 클라이언트
- 클라이언트가 요청 헤더와 바디를 만들어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냄
- 서버
- 클라이언트의 요청 헤더와 바디를 꺼내고 분석해서 요청을 처리한 결과를 응답헤더와 바디에 포함해서 클라이언트에 보냄
- 클라이언트
- 서버로부터 받은 응답 데이터를 꺼내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UI로 보여줌
- 사용자
- 페이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상태
-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, 서버(Next.js), API 서버, DB 등 서로 다른 환경을 구분하는 개념
- React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으로 동작
- Next.js는 클라이언트, 서버 사이드 렌더링으로 동작
- JSP, Servlet, ASP, PHP 등으로 개발
- 브라우저는 페이지 단위로 요청을 보내며 웹서버는 완성된 페이지를(HTML) 응답
- 화면(View, UI)을 만드는 역할은 백엔드의 웹서버와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전담
- 브라우저 화면의 일부만 갱신이 필요한 경우에도 페이지 전체를 서버에 요청해서 받아오므로 매번 리플래시가 발생해서 UX에 부정적
- Ajax, jQuery 등 클라이언트 자바스크립트 API 사용
- 서버에 페이지 단위로 요청하지만 같은 페이지 내에서의 화면 갱신은 Ajax를 이용해서 서버와 통신한후 DOM API로 리플래시 없이 화면 갱신
- 전체 화면 리플래시가 줄어들어서 사용자 UX에 긍정적
- 하나의 HTML 페이지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화면과 기능 제공
- 브라우저가 최초로 접속했을 때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모든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다운로드 받고 페이지 이동시 history API를 이용해서 리플래시 없어 모든 화면을 서비스
- 화면(View, UI)를 만드는 역할을 웹 브라우저의 자바스크립트가 담당
- 단점
- 모든 기능을 한 페이지에서 다 구현하다 보니 상태(데이터) 관리가 어려움
-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 코드를 생성해야 하므로 개발 생산성 저하
- 브라우저의 DOM을 자주 갱신하다보면 성능 저하 발생
- React의 특징
- 컴포넌트 별로 상태 관리가 가능하고 글로벌 상태 관리를 지원하는 서드파티 라이브러리가 많음
- JSX를 이용해서 HTML 생산성이 높음
- 가상 DOM을 이용해서 성능 저하 최소
- React의 단점
- 최초에 로딩할 자바스크립트 용량이 커서 초기 화면을 보여주기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림
- 리액트의 동작 방식
- 클라이언트가 최초로 접속하면 head에 css, js 파일이 정의되어 있고 body가 비어있는 HTML 응답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 />
<link rel="icon" type="image/svg+xml" href="/vite.svg" /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 />
<title>Vite + React + TS</title>
<script type="module" crossorigin src="/assets/index-BzyLkkVx.js"></script>
<link rel="stylesheet" crossorigin href="/assets/index-UJILNUew.css">
</head>
<body>
<div id="root"></div>
</body>
</html>
- 클라이언트가 HTML을 파싱하면서 css, js 파일을 서버에 추가로 요청하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js 파일을 이용해서 HTML 생성
- 이후 페이지 이동 시 처음에 다운로드 받은 js 파일에서 모든 HTML 생성하고 동적으로 화면을 바꾸므로 SPA로 동작
- 초기 js 로딩에 시간이 걸림
- SEO 안됨
- 초기 페이지 로딩 시간과 SEO(Search Engine Optimization)를 개선하기 위해 서버에서 HTML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송
- 초기 페이지 로드
-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처음 접속할 때 서버는 해당 페이지의 HTML을 생성하고(렌더링) 브라우저에 응답(SSR)
- 자바스크립트 다운로드
-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받은 HTML을 파싱하면서 현재 페이지의 동작에 필요한 자바스크립트를 다운로드 후 실행
- 정적인 페이지 뷰
- 자바스크립트 다운로드 중에 HTML 파싱이 완료되면 즉, DOM 생성 후 화면에 출력하면 정적인 상태의 화면을 사용자가 볼 수 있음
- 전체 내용이 로드되기 전이라도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해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을 할 수 있음
- 하이드레이션
- 다운로드 받은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가상 DOM을 만들고 실제 DOM과 동기화 시키고 이벤트 추가 등의 작업이 끝나면 사용자와 상호작용 가능한 상태가 됨
- 리액트 앱으로 동작
- 하이드레이션이 끝나면 일반적인 리액트 앱으로 동작(CSR)
- SSR을 지원하는 리액트 프레임워크로 Getsby, Remix, Next.js 등이 있음
- 첫 페이지 로딩이 빨라짐
- CSR은 자바스크립트를 다운로드 한 후 리액트 컴포넌트로 렌더링되어야 화면에 보임
- SSR은 일단 HTML 먼저 응답하므로 정적인 레이아웃을 바로 보여줄 수 있음
- 효율적인 SEO 가능
- 정적으로 응답한 HTML에 검색엔진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시키기 때문에 검색엔진이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더라도 필요한 정보를 바로 확인 가능
- SSR은 페이지 단위, RSC는 컴포넌트 단위
- Next.js의 page 라우터가 SSR 방식, app 라우터가 RSC 방식
- SSR은 page 단위에서만 서버 관련 함수 사용
- getServerSideProps 내에서 데이터 받아오고 데이터를 렌더링할 컴포넌트에는 props로 전달
- RSC는 데이터를 렌더링할 컴포넌트에서 직접 서버 관련 함수 사용
- 관심사 분리: page 컴포넌트는 UI, 데이터는 하위 컴포넌트에서 직접 생성
- props 드릴링 없음
- 컴포넌트 단위로 SSR 전략을 선택할 수 있음
- SSR(Server Side Rendering)
- SSG(Static Site Generation)
- ISR(Incremental Static Regeneration)
- SSR(Server Side Rendering)
- 페이지 내에서 자주 바뀌는 컴포넌트가 하나 있으면 SSR은 해당 페이지에 접속할 때 매번 모든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서버에서 렌더링 함
- RSC는 해당 컴포넌트만 동적으로 렌더링 함
- 백엔드 데이터 리소스(DB 등)에 직접 액세스 가능
- 백엔드 개발 가능
- RSC가 없던 Next.js 13 이전에는 페이지 루트에서만 백엔드 접근이 가능했었지만 RSC는 컴포넌트 단위의 백엔드 접근이 가능
- 클라이언트에서 여러번 데이터 요청을 하지 않고 한번의 요청으로 모든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음
- 폭포수 현상을 줄임
- Next.js 서버와 데이터 리소스(DB 등)가 보통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지연시간을 줄임
- API 키나 액세스 토큰 같은 민감한 정보가 클라이언트에 노출되지 않음
- fetch API는 자동으로 서버측에 캐싱이되므로 여러 클라이언트의 동일한 요청에 대해 데이터 리소스를 다시 가져올 필요 없이 캐시된 컨텐츠를 제공해서 빠르고 서버 자원 낭비가 줄어듬
- 클라이언트로 번들링되어 전송되는 자바스크립트 크기가 줄어듬
- 서버에서만 실행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로 코드를 전송할 필요 없음(로직, 라이브러리)
- FCP(First Contentful Paint)가 단축됨
- HTML을 서버에서 만들어 주기때문에 인터렉션에 필요한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전이라도 화면에 보여줄 수 있음
- SEO에 유리
- 렌더링 작업을 청크로 분할해서 스트리밍하면 클라이언트는 전체 HTML을 다 받기전에도 페이지의 일부를 보여줄 수 있음
- 코드 자동 분할
- 오직 서버에서만 실행되는 컴포넌트
- Next.js의 app 라우터를 사용하면 모든 컴포넌트는 기본으로 서버 컴포넌트가 됨
- 라우트 세그먼트를 기준으로 각 세그먼트의 렌더링 작업 시작
- /posts/3일 경우 /posts, /3 두개의 세그먼트로 나뉨
- 각 라우트 세그먼트의 대상 컴포넌트는 렌더링에 필요한 데이터를 만들고(fetch) RSC Payload 생성
- loading 파일이 있거나 Suspense가 있다면 해당 위치에 fallback UI를 렌더링
- 이후 데이터 패칭이 완료되면 추가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
- RSC Payload: 서버에서 렌더링된 컴포넌트 트리 구조(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들어갈 자리 표시),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자바스크립트 파일 경로, 서버 컴포넌트에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 전달하는 props 데이터를 표현한 특수한 포맷의 데이터
- RSC Payload를 기반으로 HTML 생성
- HTML과 RSC Payload를 클라이언트에 전송
- HTML은 브라우저 자체의 렌더링으로 빠르게 화면 표시
- HTML만 가지고 화면을 보여줬기 때문에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이 되지 않는 상태
- 인터렉션을 위한 하이드레이션 시작
-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다운로드
- 리엑트 앱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RSC Payload 정보를 이용해서 Virtual DOM을 생성, Real DOM과 동기화 시키고 이벤트 핸들러를 등록해서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한 상태로 만듬
-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되는 컴포넌트
- 파일의 첫줄에 'use client' 지시어 추가
- 클라이언트에서도 실행되는 컴포넌트로 브라우저에서만 할 수 있는 작업이 필요한 경우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만들어야 함
- 이벤트 리스너, DOM 직접 핸들링
- useState, useEffect 등 상태와 라이프사이클 관련 기능
- 브라우저 API(window, document, localStorage, geolocation 등) 사용
-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import해서 사용하는 모든 자식 컴포넌트는 암묵적으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되고 자바스크립트 번들에 포함되어 클라이언트로 전송됨
-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서버 컴포넌트를 import 할 수 없지만 children으로 포함하는건 가능
- 페이지 로드일 경우
- 초기 접속이나 새로고침 등으로 페이지가 로드될 때
- 서버는 서버 컴포넌트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모두 렌더링해서 HTML 생성 후 응답
- 페이지는 변경되지 않고 리렌더링 되는 경우
- 새로고침 없이 클라이언트에서 렌더링
- SSG(Static Site Generation)
- 빌드 시점에 서버측에서 HTML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요청시 미리 생성된 HTML을 바로 응답하므로 빠름
- 데이터가 바뀌지 않는 정적인 페이지에 사용
- 클라이언트 요청시 매번 HTML을 생성해서 응답하므로 느림
- 최신 데이터를 반영해야 하거나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가 있는 동적인 페이지에 사용
- 서버의 작업이 완료되지 않더라도 응답이 여러 청크로 분할되어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 됨
- 클라이언트는 전체 렌더링이 완료되기 전에 페이지의 일부를 즉시 볼 수 있음
- 앱 라우터를 사용하면 기본으로 동작
- 정적으로 렌더링 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서버에서 렌더링 됨
- revalidate 옵션 사용
- Edge는 Node.js의 경량화 버전으로 빠르지만 Node.js의 fs 모듈이나 모든 npm 패키지를 지원하지 않음
- 빠른 시작을 위해 최소한의 리소스를 사용하므로 패키지 파일 사이즈가 제한될 수 있음
- Static Rendering 지원 안함
- layout이나 page에서 정의
export const runtime = 'edge' // 'nodejs' (default) | 'edge'
-
fetch의 반환값을 서버의 데이터 캐시에 자동으로 캐시
- 빌드시, 요청시 데이터를 캐시하고 재사용
// 'force-cache'는 기본값이므로 생략 가능 fetch('https://api.fesp.shop/posts', { cache: 'force-cache' });
- 캐시되지 않는 예외 사항
- 서버 액션
- GET 방식 이외의 라우트 핸들러
- 빌드시, 요청시 데이터를 캐시하고 재사용
-
캐시 미적용
-
fetch의 cache: 'no-store' 속성 사용
fetch(`https://api.fesp.shop/posts`, { cache: 'no-store' });
-
layout, page의 라우트 세그먼트 설정 옵션을 사용하면 layout이나 page 내의 모든 요청에 적용됨
export const dynamic = 'force-dynamic'; // 외부 라이브러리에서도 캐시 안하도록 설정됨
-
// fetch의 { cache: 'no-store' } 옵션
fetch(`https://api.fesp.shop/posts`, { cache: 'no-store' });
// fetch의 { next: { revalidate: 0 } } 옵션
fetch('https://api.fesp.shop/posts', { next: { revalidate: 0 } });
// POST 라우터 핸들러 내부의 fecth 요청
export async function POST(request: Request) {
fetch('https://api.fesp.shop/posts');
}
// header나 cookies 속성을 사용
// header나 cookie를 꺼내는 작업은 동적 함수이므로 해당 컴포넌트는 동적 렌더링이 됨
const cookieStore = cookies();
const headersList = headers();
// 라우트 세그먼트 설정 옵션의 dynamic 속성으로 force-dynamic 사용
export const dynamic = 'force-dynamic';
// 라우트 세그먼트 설정 옵션의 fetchCache 속성으로 *-no-store 사용
export const fetchCache = 'force-no-store'; // 캐시 무시하고 항상 새로운 데이터 가져옴
export const fetchCache = 'only-no-store'; // 캐시가 없을 경우에만 새로운 데이터 가져옴
export const fetchCache = 'default-no-store'; // 기본적으로 캐시를 사용안함. 다른 옵션으로 활성화 가능
- 미들웨어에서는 캐시 안됨
- 데이터 캐시와 fetch 메모이제이션의 차이점
- 둘다 프로덕션에서만 동작
- 데이터 캐시는 여러 요청에서 재사용 됨
- 메모이제이션은 컴포넌트 트리가 렌더링 되는 동안에만 재사용 됨
- 렌더링 될때 호출되는 여러 컴포넌트가 동일한 URL과 옵션으로 fetch 요청을 보내면 최초 요청의 응답을 저장하고 이후의 요청에는 저장된 응답이 사용된 후 렌더링이 끝나면 삭제됨
- 데이터 캐시는 비활성화 하거나 재검증 시 서버에 다시 요청
- 메모이제이션은 임시 캐시이므로 다음 렌더링 작업이 발생하면 항상 서버에 다시 요청
- 메모이제이션 -> 데이터 캐시 -> 데이터 소스 순으로 확인
- 데이터 캐시를 제거하고 최신 데이터를 다시 가져오는 프로세스
- 재검증 시도시 오류가 발생하면 마지막 성공한 데이터 캐시를 사용하고 다음 요청에서 재검증을 다시 시도
- next.revalidate 옵션으로 초단위 시간 설정
fetch('https://api.fesp.shop/posts', { next: { revalidate: 3600 } });
- 라우트 세그먼트 설정 옵션의 revalidate 값을 지정
export const revalidate = 3600;
- revalidateTag()
- 지정한 태그의 서버 데이터 캐시 무효화
- revalidatePath()
- 지정한 경로의 서버 데이터 캐시 무효화
// /posts/page.tsx
const res = await fetch(`https://api.fesp.shop/posts?type=qna`, {
next: { tags: ['posts', 'qna'] }
});
revalidateTag('posts'); // posts 태그가 붙어있는 캐시 삭제
revalidateTag('qna'); // qna 태그가 붙어있는 캐시 삭제
revalidatePath('/posts'); // /posts URL의 캐시 삭제
- 애플리케이션의 속도와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된 자양한 내장 최적화 기능을 제공
-
자동으로 이미지 최적화 기능을 갖춘 Image 컴포넌트
-
크기 최적화
- 각 장치에 맞는 올바른 크기의 이미지를 자동으로 제공
- WebP, AVIF 같은 현대 이미지 포맷을 사용
-
시각적 안정성
- 이미지가 로딩될 때 발생하는 레이아웃 이동 현상 방지(width, height 속성 명시)
-
더 빠른 페이지 로드
- 이미지가 뷰포트에 들어올 때 로드
- 선택적인 blurDataURL 속성으로 블러업 플레이스 홀드 지정
-
유연성
- 원격 서버의 이미지를 요청에 따라 크기 조정
-
외부 이미지 로딩시 next.config.mjs 설정 추가
/** @type {import('next').NextConfig} */
const nextConfig = {
images: {
remotePatterns: [
{
protocol: 'http',
hostname: 'localhost',
port: '',
pathname: '/files/**',
},
{
protocol: 'https',
hostname: 'api.fesp.shop',
port: '',
pathname: '/files/**',
},
],
},
};
export default nextConfig;
- layout이나 page에서 외부 스크립트 로딩
- layout에서 외부 스크립트 로딩시 동일 레이아웃 내의 여러 페이지 이동에도 한번만 로딩됨
- app/map/layout.tsx
import Script from 'next/script';
export default function DashboardLayout({
children,
}: {
children: React.ReactNode
}) {
return (
<>
<section>{children}</section>
<Script src="//dapi.kakao.com/v2/maps/sdk.js?appkey=abc123" />
</>
)
}
- 스크립트를 추적하고 최적화 하기 위해서 id 속성 부여
<Script id="show-banner">
{`document.getElementById('banner').classList.remove('hidden')`}
</Script>
- public 폴더 아래에 위치
- public 폴더는 코드에서 '/'로 접근
- 신원 확인
- 아이디, 비밀번호로 로그인
- 구글, 네이버, 카카오 로그인
- OAuth/OpenID Connect(OIDC)
- 소셜 로그인, Single Sign-On(SSO)
- 로그인(이메일 + 비밀번호)
-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방법
- 비밀번호 없는 토큰 기반 인증
- 일회성 이메일 링크나 SMS 링크 등을 통해서 인증
- 비밀번호 재설정 링크
- Passkeys/WebAuthn
- 안전하지만 구현 복잡
- 로그인 페이지
import { authenticate } from '@/app/lib/actions'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 {
return (
<form action={authenticate}>
<input type="email" name="email" placeholder="Email" required />
<input type="password" name="password" placeholder="Password" required />
<button type="submit">Login</button>
</form>
)
}
- 인증 공급자의 API 호출
'use server'
import { signIn } from '@/auth'
export async function authenticate(_currentState: unknown, formData: FormData) {
try {
await signIn('credentials', formData)
} catch (error) {
if (error) {
switch (error.type) {
case 'CredentialsSignin':
return 'Invalid credentials.'
default:
return 'Something went wrong.'
}
}
throw error
}
}
- 결과 처리
'use client'
import { authenticate } from '@/app/lib/actions'
import { useFormState, useFormStatus } from 'react-dom'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 {
const [errorMessage, dispatch] = useFormState(authenticate, undefined)
return (
<form action={dispatch}>
<input type="email" name="email" placeholder="Email" required />
<input type="password" name="password" placeholder="Password" required />
<div>{errorMessage && <p>{errorMessage}</p>}</div>
<LoginButton />
</form>
)
}
function LoginButton() {
const { pending } = useFormStatus()
const handleClick = (event) => {
if (pending) {
event.preventDefault()
}
}
return (
<button aria-disabled={pending} type="submit" onClick={handleClick}>
Login
</button>
)
}
- 인증 받은 사용자가 특정 작업에 대해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
- 게시묵 목록, 상세 조회는 누구나 가능
- 게시물 수정, 삭제는 본인의 게시물에 한해서만 가능
- 판매 회원만 상품 등록 가능
- Next.js의 미들웨어를 이용해서 구현
- 루트 디렉토리에 middleware.ts 파일 생성
- 토큰 확인 등을 통해 사용자 엑세스를 승인하는 로직 작성
- 미들웨어의 matcher 옵션으로 인가가 필요하지 않은 경로를 지정
-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로직 작성
- 승인되지 않은 사용자는 오류 페이지를 보여주거나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
import type { NextRequest } from 'next/server'
export function middleware(request: NextRequest) {
const currentUser = request.cookies.get('currentUser')?.value
if (currentUser && !request.nextUrl.pathname.startsWith('/dashboard')) {
return Response.redirect(new URL('/dashboard', request.url))
}
if (!currentUser && !request.nextUrl.pathname.startsWith('/login')) {
return Response.redirect(new URL('/login', request.url))
}
}
export const config = {
matcher: ['/((?!api|_next/static|_next/image|.*\\.png$).*)'],
}
import { redirect } from 'next/navigation'
export default function Page() {
// Logic to determine if a redirect is needed
const accessDenied = true
if (accessDenied) {
redirect('/login')
}
// Define other routes and logic
}
'use server'
// ...
export async function serverAction() {
const session = await getSession()
const userRole = session?.user?.role
// Check if user is authorized to perform the action
if (userRole !== 'admin') {
throw new Error('Unauthorized access: User does not have admin privileges.')
}
// Proceed with the action for authorized users
// ... implementation of the action
}
export async function GET() {
// User authentication and role verification
const session = await getSession()
// Check if the user is authenticated
if (!session) {
return new Response(null, { status: 401 }) // User is not authenticated
}
// Check if the user has the 'admin' role
if (session.user.role !== 'admin') {
return new Response(null, { status: 403 }) // User is authenticated but does not have the right permissions
}
// Data fetching for authorized users
}
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Dashboard() {
const session = await getSession()
const userRole = session?.user?.role // Assuming 'role' is part of the session object
if (userRole === 'admin') {
return <AdminDashboard /> // Component for admin users
} else if (userRole === 'user') {
return <UserDashboard /> // Component for regular users
} else {
return <AccessDenied /> // Component shown for unauthorized access
}
}
- 예전에는 NextAuth.js 였다가 5.0부터 Auth.js로 명칭 변경
- OAuth2.0, OIDC 등을 지원
npm install next-auth@beta
- .env.local 파일에 AUTH_SECRET 환경변수 생성됨
npx auth secret
# openssl rand -base64 33 명령으로 생성하는 효과
- src/auth.ts
import NextAuth from "next-auth";
export const { handlers, signIn, signOut, auth } = NextAuth({
providers: [],
})
- providers: Credentials, Google, GitHub 등의 인증 공급자를 지정
- session: 세션 관리 방식을 지정
- pages: 사용자 정의 페이지 경로를 지정하며, 로그인 페이지의 기본값은 /auth/signin
- callbacks: 인증 및 세션 관리 중 호출되는 각 핸들러를 지정
- signIn: 사용자 로그인을 시도했을 때 호출되며, true를 반환하면 로그인 성공, false를 반환하면 로그인 실패로 처리
- redirect: 페이지 이동 시 호출되며, 반환하는 값은 리다이렉션될 URL
- jwt: JWT가 생성되거나 업데이트될 때 호출되며, 반환하는 값은 암호화되어 쿠키에 저장됨
- session: jwt 콜백이 반환하는 token을 받아, 세션이 확인될 때마다 호출되며, 반환하는 값은 클라이언트에서 확인할 수 있음(2번 이상 호출될 수 있음)
- 로그인: signIn > redirect > jwt > session
- 세션 업데이트: jwt > session
- 세션 확인: session
- handlers: 프로젝트의 인증 관리를 위한 API 라우트(GET, POST 함수) 객체
- signIn: 사용자 로그인을 시도하는 비동기 함수
- signOut: 사용자 로그아웃을 시도하는 비동기 함수
- auth: 세션 정보를 반환하는 비동기 함수
- User Type: 외부
- 앱 이름: 지디컴
- 범위 추가 또는 삭제
- userinfo.email
- userinfo.profile
- openid
- 사용자 인증 정보 만들기 > OAuth 클라이언트 ID
- 애플리케이션 유형: 웹 애플리케이션
- 이름: 지디컴
- 승인된 JavaScript 원본 > URI 추가
- 승인된 리디렉션 URI
- .env에 client_id와 client_secret 추가
GOOGLE_CLIENT_ID=abc123
GOOGLE_CLIENT_SECRET=123ddd
- src/auth.ts에 추가
import GoogleProvider from "next-auth/providers/google";
...
providers: [
GoogleProvider({
clientId: process.env.GOOGLE_CLIENT_ID,
clientSecret: process.env.GOOGLE_CLIENT_SECRET,
}),
...
]
- src/data/actions/authAction.ts에 추가
export async function signInWithGoogle(){
await signIn('google', { redirectTo: '/' });
}
- src/app/(community)/(user)/login/page.tsx에 추가
import { signInWithCredentials, signInWithGoogle } from "@/data/actions/authAction";
...
<Submit formAction={signInWithCredentials}>로그인</Submit>
<Submit formAction={signInWithGoogle}>구글</Submit>
- next.config.mjs에 추가
/** @type {import('next').NextConfig} */
const nextConfig = {
images: {
remotePatterns: [
...
{
protocol: 'https',
hostname: '*.googleusercontent.com',
pathname: '**',
},
],
},
};
-
New OAuth App
- Application name: 지디컴
- Homepage URL: http://localhost:3000
- Authorization callback URL: http://localhost:3000/api/auth/callback/github
- Register application
- .env에 client_id와 client_secret 추가
GITHUB_CLIENT_ID=aaabb12
GITHUB_CLIENT_SECRET=033a8ef1eadf
- src/auth.ts에 추가
import GithubProvider from "next-auth/providers/github";
...
providers: [
GithubProvider({
clientId: process.env.GITHUB_CLIENT_ID,
clientSecret: process.env.GITHUB_CLIENT_SECRET,
}),
...
]
- src/data/actions/authAction.ts에 추가
export async function signInWithGoogle(){
await signIn('github', { redirectTo: '/' });
}
- src/app/(community)/(user)/login/page.tsx에 추가
import { signInWithCredentials, signInWithGoogle } from "@/data/actions/authAction";
...
<Submit formAction={signInWithCredentials}>로그인</Submit>
<Submit formAction={signInWithGoogle}>구글</Submit>
- next.config.mjs에 추가
const nextConfig = {
images: {
remotePatterns: [
...
{
protocol: 'https',
hostname: '*.githubusercontent.com',
pathname: '**',
},
],
},
};